2025/04/26 3

말레이시아 말라카 전통가옥의 유럽 혼합양식과 베란다 건축

동남아시아 건축은 다양한 문화의 만남과 충돌, 그리고 융합의 과정을 통해 독특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특히 말레이시아 서부 해안에 위치한 말라카(Melaka)는 동서양 문명이 가장 극적으로 만난 장소다. 15세기 말라카 왕국을 시작으로,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 식민 지배를 거치면서 다양한 문화가 섞였고, 이는 도시 건축 양식에도 깊은 흔적을 남겼다. 말라카 전통가옥은 말레이 전통 건축을 근간으로 하면서 유럽식 요소를 절묘하게 혼합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특히 베란다 구조를 통해 기후와 문화, 생활방식까지 아우르는 독특한 공간을 만들어냈다.말라카는 단순한 교역 도시가 아니라, 문화적 실험실이기도 했다. 이곳에서 발전한 전통가옥은 ‘스트레이츠-중국인(Straits Chinese)’, ‘바바-논야(Baba-..

인도네시아 토라자족의 통코난 가옥과 조상 숭배 공간 구조

동남아시아 건축은 단순히 기후에 대응한 구조가 아니라, 종교, 조상숭배, 공동체 삶이 얽힌 ‘삶의 철학’ 그 자체다. 그중에서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Sulawesi)섬의 고산지대에 터를 잡고 살아가는 토라자(Toraja)족의 전통 가옥인 통코난(Tongkonan)은 건축과 신념이 완전히 융합된 독보적인 사례다. 이들의 집은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니라, 조상과 대화하고 공동체 정체성을 확인하며 죽음 이후 세계와 연결되는 제의적 장소이기도 하다.토라자족의 사회는 오늘날에도 조상 숭배와 장례 의례 중심의 사회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그 삶의 철학이 가장 응축되어 있는 장소가 바로 통코난이다. 이 건물은 지붕에서 기둥, 실내 배치까지 모든 요소가 철저히 조상과의 관계, 가족의 위계, 신화적 세계관에 따라 구성된..

태국 치앙마이 사원의 지붕 장식과 북부 불교 미학

동남아시아 건축은 기후와 지형, 종교와 신념,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 정체성이 어우러져 발달한 복합 문화의 결정체다. 그중에서도 태국 북부에 위치한 치앙마이(Chiang Mai)는 동남아시아 전통 사원 건축의 정수라 할 만한 공간이다. 란나 왕국의 옛 수도였던 이 도시는 고산지대를 배경으로, 불교의 심오한 미학과 지역의 민속적 상징이 결합한 독특한 건축양식을 보여준다. 특히 치앙마이 사원의 지붕 장식은 단순한 장식미를 넘어, 북부 불교 세계관을 압축한 상징적 구조물로 평가받는다.치앙마이는 열대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지만, 상대적으로 습도는 낮고 일교차가 큰 지형이다. 이러한 기후적 특징은 사원의 지붕 구조와 장식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무엇보다 치앙마이의 사원이 특별한 이유는, 단순히 환경에 적..